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덤프버전 :



파일:북한 국장.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內閣總理
The Premier of the DPRK Cabinet
파일:김덕훈총리.jpg
현직김덕훈 / 제22대
취임일2020년 8월 13일
정당
파일:조선로동당 로고타입.svg


1. 개요
2. 법적 근거
2.1. 존속 근거
2.2. 법적 지위와 권한
3. 연혁
4. 역대 내각 총리
5. 트리비아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북한의 총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의 대표이자 1998년 김일성 헌법이 도입된 이래 북한의 법적인 정부수반. 수령김정은이 절대권력을 쥐고 있는 것이 북한이지만 북한의 당정군에서 '정'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자리이다.

2. 법적 근거[편집]


2019년 8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개정된 헌법을 기준으로는 내각총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2.1. 존속 근거[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19년 8월)
제6장 국가기구
제1절 최고인민회의
제91조 최고인민회의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
내각총리를 선거 또는 소환한다.
제5절 내각
제123조 내각은 국가주권의 행정적집행기관이며 전반적국가관리기관이다.
제124조 총리, 부총리, 위원장, 상과 그밖에 필요한 성원들로 구성한다. 내각의 임기는 최고인민회의 임기와 같다.

2.2. 법적 지위와 권한[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19년 8월)
제6장 국가기구
제1절 최고인민회의
제91조 최고인민회의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
내각총리의 제의에 의하여 내각 부총리, 위원장, 상 그밖의 내각성원들을 임명한다.
제3절 국무위원회
제110조 국무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임무와 권한을 가진다.
④ 최고인민회의 휴회중에 내각총리의 제의에 의하여 부총리, 위원장, 상 그밖의 내각 성원들을 임명 또는 해임한다.
제5절 내각
제126조 내각총리는 내각사업을 조직지도한다.
내각총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를 대표한다.

3. 연혁[편집]


1948년 9월 9일, 북한이 처음 세워졌을 때는 제헌헌법 제4장 중앙집행기관 제1절 내각 제52조를 통해서 내각을 '국가주권의 최고집행기관'으로 규정하고 제59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수상을 북한의 정부 수석으로 규정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수상이 유고할 때는 부수상이 대행하며, 수상이 취임할 때 어떤 선서를 해야하는지도 규정되어 있는등 좀 그럴듯한 규정이 많이 있었다. 이땐 김일성이 내각수상이 되어서 정부를 장악했으며 1972년 사회주의 헌법을 채택하여 수상제를 폐지할때까지 수상직을 독점했다.

그러다가 1972년 12월, 사회주의 헌법이 채택되면서 국가주석제가 도입되고 내각은 '최고주권기관의 행정적 집행기관'인 정무원으로 격하되었다. 속된 말로 주석의 딱까리에 불과했던 내각은 김일성 사후 1998년 김일성 헌법이 도입되면서 다시 내각으로 격상되어 최고주권의 행정적 집행기관으로 격상, 내각의 대표인 내각총리도 정부의 대표자로 격상되었다. 다만 내각수상은 김일성만 쓸 수 있다고 여겼는지 정무원총리에서 총리를 가져와 내각총리라는 직함을 쓰게 했다.

하지만 김정일 시기 내내 자리를 지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영남의 위상이나 국방위원회에서 김정일을 보좌하던 여러 군부 및 당내 엘리트들에 비교하면 만만한 테크노크라트들이 맡은 내각총리들의 위상은 아무래도 약해보이는 것이 어쩔 수 없다. 비록 나중에 복권되긴 했지만 박봉주는 당내 보수파들의 반발로 불명예스럽게 해임되었고 그 뒤를 이은 김영일(1944)도 상당히 비참하게 정치경력을 마무리하는 등 정책이 잘못되면 십자가에 못박기 위한 희생양이라는 느낌도 강하다.

김정은이 집권하면서 내각총리의 위상이 더 올라가는 느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미 김정일과 김정은 사이의 징검다리 총리였던 최영림은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된 바가 있고, 최영림의 뒤를 이어 다시 총리가 된 박봉주도 상무위원, 현임 김덕훈도 상무위원에 선출되는 등 1년 조금 넘게 재임한 김재룡을 제외하곤 내각총리에게 정치국 상무위원이 당연직으로 주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감히 수령을 제외하곤 할 수 없었던 현지료해 등도 박봉주가 총리이던 시절부터 활발히 다니는 등 수령의 역할을 여러모로 분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2016년부터 최고지도기관이 된 국무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내각총리인 박봉주가 선임되었으며 이후 김덕훈이 다시 부위원장이 되는 등 내각총리의 역할은 북한 내에서 계속 중요시 되는걸로 으로 보인다. 2022년 현재, 내각총리인 김덕훈의 호명순서가 각종 행사나 회의에서 조직비서인 조용원이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최룡해보다 높게 호명되는 등 내각총리의 위상이 상당히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4. 역대 내각 총리[편집]


성명임기시작임기종료비고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 (1998년 9월 5일)
홍성남1998년 9월 5일2003년 9월 3일정무원 부총리에서 승진
함경남도 책임비서로 조동
최고인민회의 11기 1차 회의 (2003년 9월 3일)
박봉주2003년 9월 3일2007년 4월 11일화학공업상에서 승진
순천비날론련합기업소 지배인으로 좌천
최고인민회의 11기 5차 회의 (2007년 4월 11일)
김영일2007년 4월 11일2009년 4월 9일륙해운상에서 승진
최고인민회의 12기 1차 회의 (2009년 4월 9일)
김영일2009년 4월 9일2010년 6월 7일화폐개혁 실패로 숙청
최고인민회의 12기 3차 회의 (2010년 6월 7일)
최영림2010년 6월 7일2013년 4월 1일평양시 책임비서에서 조동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으로 은퇴
최고인민회의 12기 7차 회의 (2013년 4월 1일)
박봉주2013년 4월 1일2014년 4월 9일당경공업부장에서 조동
최고인민회의 13기 1차 회의 (2014년 4월 9일)
박봉주2014년 4월 9일2019년 4월 12일국무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조동
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 (2019년 4월 12일)
김재룡2019년 4월 12일2020년 8월 13일자강도 책임비서에서 조동
조직지도부장으로 조동
조선로동당 제7기 제16차 정치국회의 (2019년 4월 12일)
김덕훈2020년 8월 13일재임 중내각부총리에서 승진
국무위원장 명령으로 임명

5. 트리비아[편집]


  • 최장기 재임 내각총리: 박봉주(1차 1316일 + 2차 2202일 = 총 3518일)

  • 최단기 재임 내각총리: 김재룡(489일)

  • 최고령 내각총리는 만 79세 8개월로 총리가 된 최영림이다. 최영림은 내각수상과 정무원총리를 합쳐서도 역대 최고령으로, 앞으로 한동안은 이 기록이 깨질 일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봉주 이후 김재룡과 김덕훈은 정확한 나이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연소 내각총리가 누구인지는 불명이다. 다만 통일부에서 추정한 나이가 맞다면, 김덕훈이 59세에 내각총리에 임명되었으므로 최연소로 추정된다.

  • 정무원총리 전원이 부수상, 부총리 재임 경력이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역대 내각총리 중에서는 홍성남(정무원 제1부총리 역임), 최영림(정무원 부총리 역임), 김덕훈(내각 부총리 역임) 세 사람만 부총리 경력이 있다.

  • 역대 내각총리 대부분이 장관 경험이 있다. 홍성남은 국가계획위원장, 박봉주는 화학공업상, 김영일은 륙해운상, 최영림은 국가계획위원장, 금속공업부장을 역임했다. 이들 모두가 중공업 분야에 종사 경험이 있다. 다만 박봉주가 맡았던 화학공업은 농업에 필수적인 비료 생산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박봉주 본인도 경공업부장을 지내는 등 경공업과 인연이 있다. 김재룡은 지방 당직을 역임했지만 중공업의 본산인 자강도 책임비서를 역임했다는 점에서 공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덕훈 역시 부총리만 역임하고 장관 경력은 없지만 자강도 인민위원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역시 김재룡과 마찬가지의 배경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추정된다.

  • 역대 내각총리 중 남한에 다녀온 것은 박봉주와 김영일이 있다. 박봉주는 2002년 화학공업상 시절에 방문한 것이고 현직 내각총리로 남한에 다녀온 사람은 2007년 남북총리회담을 위해 방남했던 김영일이 유일하다.

  • 무려 3명의 부주석(김일, 박성철, 리종옥)과 2명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박성철, 리종옥)을 배출한 정무원총리와는 달리 내각총리는 한명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최영림)을 배출했다.

6.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13:07에 나무위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